SNS
홈페이지

시제품제작 단계 알아보기 !

제품 제작 과정 POC → PROTOTYPE → MVP → PRODUCT
POC(Proof Of Concept) : 아이디어가 과연 현실에서 구축이 가능한지, 제작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기술들이 사용되어야 하는지 검증하는 과정입니다. 기능을 테스트구간 입니다.
PROTOTYPE : 최종형태가 아니더라도, 기능상 비슷한 형태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하드웨어에서는 CNC, 3D프린팅을 이용해서 외형을 제작하는 것을 의미하기도합니다. 수준은 제작된 것을 가지고 상대방에게 이게 무엇을 하는 것인지 이야기 할 수 있는 정도입니다.
MVP(Minimum Viable Product) : 최소기능제품 이라는 뜻입니다. 계획했던 모든 기능이 구현되는 단계를 의미합니다. 하지만 디자인 최소기능제품인만큼 디자인도, 기능, 유용성도, 신뢰도도 부족합니다. 판매를 하진 못해도, 충성고객이 체험을 할 수 있는 단계입니다.
MVP 단계는 1단계가 끝이아니라, 여기서 고객들에게 보여주고 테스트해보고 피드백을 받아서 MVP 2단계, MVP 3단계 이렇게 성장시켜나가야합니다.
여러 단계를 통해 고객경험을 얻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정부지원사업을 진행하거나, 투자를 받거나 하는 단계로 성장하여 양산의 단계로 넘어갑니다.
PRODUCTION : 판매되는 제품을 이야기합니다. MVP단계에서 양산 후 판매되는단계까지는 많은 시간과 금액이 들어갑니다. MVP과정까지 3개월이라면, 제품까지는 1년이 넘게 걸릴 수도 있고 그 만큼 금액도 많이 들어갑니다. MVP제작 후 필요에 따라서 인증을 받고 , 양산 할 공장을 찾고 투자처를 찾는 과정을 거친 뒤 들어가는 단계입니다.
크게 나누면,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각각 제작하는 순서는 같지만 약간의 예시를 담은 이미지를 통해 더 알려드리겠습니다.
하드웨어개발 시제품 제작과정
Diagram (다이어그램, 기능전개 )
POC(Proof Of Concept, 기능구현 테스트 )
Ex) 100개의 RF통신 네트워크망 구축 가능한가 ?
EX) 모듈형태의 테스트 !
Prototype ( 무엇인지 보면서 프레젠테이션 할 수 있는단계 )
목업(Mock-up)
외형위주 : 3D프린팅, 레이저커팅, CNC 등 활용
MVP ( 실제 배치 할 수 있는 단계, 얼리어답터에게 체험 가능 )
회로 및 논리구조 / 조립
Product [ 인증 / 양산 판매 ]
데이터&소프트웨어개발 시제품 제작과정
Flow chat
와이어프레임
프로토타입
목업(Mock-up)
개발
배포

시제품제작은 아무고나제작소 LINK